중국 역대 제왕 일러스트.jpg
황제 황제 헌원씨는 중국의 신화에 등장하는 제왕으로, 삼황에 이어 중국을 다스린 오제의 첫번째 왕이다. ‘황제’라는 명칭은 재위 기간 중 황룡이 나타나 토덕의 상서로운 징조가 있다고 하여 붙여졌다. 사실상 신화로 여겨졌던 삼황과 달리 황제를 필두로 한 오제는 실존한 제왕들로서 추앙되었으며 황제는 중국 문명의 시조로 여겨졌다. 하 걸왕 / 상 탕왕 걸은 하나라의 마지막 군주로, 포악하고 사치스러웠던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걸은 원래 주변을 정복하는 군주였다. 한번은 현재의 산둥 성 쪽에 있는 유시를 공격했는데, 때문에 유시는 약탈을 당하고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 유시의 사람들은 걸의 공격을 돌리기 위해 매희라는 아름다운 여자를 진상했다. 그 이후 걸은 정사를 뒤로하고 매희와의 사치에만 빠졌다. 매희는 유시 사람들의 복수를 위해서라도 걸의 사치를 부추겼다. 탕은 상나라의 건국자로, 이름은 리이다. 하나라의 마지막 왕 걸을 추방해 하 왕조를 멸망시켰다. 하나라의 마지막 왕 걸은 포학한 정치를 해 인심은 하로부터 멀어져 있었다. 하의 신하인 탕은 명신 이윤의 보좌를 받아 걸을 공격해 멸망시켰다. 은 주왕 / 달기 제신은 주, 주신, 주왕이라 불리며, 은나라의 제31대 왕으로 마지막 군주이다. 신체가 장대하고 외모가 준수하며, 총명하고 힘이 장사였다고 한다. 군사적 재능이 있어 많은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향락을 좋아하고 여색을 밝혀고 급기야 애첩 달기에게 빠져 나라를 망하게 하였다. 하나라의 마지막 왕 걸(桀)과 함께 폭군의 전형이 되었다. 달기는 중국 은 왕조 말기의 왕 제신의 총비였다.하 왕조의 말희와 더불어 악녀의 대명사로서 알려져 있다 주 무왕 주 무왕은 주나라의 제1대 왕이다. 성은 희, 이름은 발이다. 서주의 개국군주이자 군사가, 정치가이다. 주 문왕 희창과 태사의 차남으로 부친의 유지를 받들어 상나라를 멸망시키고, 서주 왕조를 건립했다. 주 유왕 / 포사 주 유왕은 주의 12대 왕이다. 정치에는 관심이 없이 여흥과 주색만을 탐닉하다 서주 왕실을 망하게 한 장본인. 애첩 포사를 총애한 나머지 정궁인 신후(申后)와 그 소생인 태자 의구를 폐하고 포사와 그 소생 백복을 정비와 태자에 책봉함으로써 정궁 신후의 아버지 신후(申侯)를 격분시켰고, 결국 견융과 신후의 연합 공격을 받고 사살되었다. 포사는 유왕이 포국을 토벌하였을 때 포인이 바쳤으므로 포사라 하였다. 이상한 출생의 전설을 지닌 그녀는 한 번도 웃는 일이 없었다. 그래서 유왕은 그녀를 웃기려고 온갖 꾀를 생각한 끝에 외적의 침입도 없는데 위급을 알리는 봉화(봉수)를 올려 제후들을 모았다. 제후들은 급히 달려왔으나 아무 일도 없었으므로 멍하니 서 있자, 그것을 본 포사는 비로소 웃었다고 한다. 뒤에 유왕은 왕비 신후와 태자 의구를 폐하고, 포사를 왕비로, 백복을 태자로 삼았다. 쫓겨난 왕비의 아버지는 격분하여 견융 등을 이끌고 쳐들어와 유왕을 공격하였다. 유왕은 위급함을 알리기 위해 봉화를 올렸으나 제후는 한 사람도 모이지 않았다. 왕과 백복은 견융의 칼에 살해되어 서주는 멸망하였으며, 포사는 납치되어 견융의 여자가 되었다고 전한다. 진 시황제 진 시황제는 진나라의 제31대 군주이자, 제6대 왕이자, 첫번째 황제이다. 중국을 최초로 통일하였고 황제라는 직위명을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사용한 인물이다. 진나라 첫 황제라는 의미로 진시황이라 하기도 한다. 항우 / 우희 항우는 중국 진나라 말기에 유방과 진나라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차지하기 위해 다툰 무장이다. 진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봉기하여 진군을 도처에서 무찌르고 관중으로 들어갔다. 진을 멸망시킨 뒤 서초 패왕이라 칭했으나 해하에서 한왕 유방에게 패배하자 자살했다. 우희는 항우의 애첩이다. 항우는 진을 타도하고 서초의 패왕이라고 칭하여 한의 유방과 패권을 다투었으나 패배하여 포위되었다. 항우는 밤에 사방을 포위한 한군이 초나라의 노래를 부르는 것을 듣고 유방이 이미 초를 점령하고 초나라 백성이 모두 적이 되었다고 생각하여, 진중에서 주연을 베풀고 우미인에게 석별의 노래를 부르게 하자, 우미인이 이에 노래로 대답하고 자결하였다 한다. 한 고제 유방 한 고제 유방은 중국의 통일 왕조인 전한의 초대 황제이다. 중국 역사상 최초의 평민 출신 황제로, 기존의 지배층이었던 제후나 귀족과는 아무런 연관이 없는 피지배층에서 황제라는 최고의 자리에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 진 말기의 대혼란에서 세력을 일으켜, 초한대전에서 최대의 호적수이자 압도적인 항우를 패배시키고 승리를 거두어 천하를 차지하였다. 신 가황제 왕망 왕망은 전한의 말기 권신이자, 신나라의 유일한 황제이다. 갖가지 권모술수를 써서 정권을 장악하고 황제를 폐위하여 스스로 황제가 되어 신(新)을 세웠다. 하지만 폭정과 실정을 반복한 탓에 여러 반란이 일어나 망했다. 자신이 세운 나라의 초대 황제이자 마지막 황제 한 광무제 유수 한 광무제 유수는 중국 고대 국가인 후한의 첫 황제이자 한나라의 16대 황제이다. 이름은 유수(劉秀)이고 자는 문숙(文叔)이다. 신나라 말기의 혼란을 통일하고 한 왕조의 재흥으로서 후한 왕조를 선포하였다. 시호인 '광무'는 한 왕조를 중흥시켰다는 뜻에서 「광」, 화란을 평정하였다는 뜻에서 「무」의 문자를 사용한 것이다. 중국사에서 손꼽히는 성군 중 한 명 위 무제 조조 촉한 소열제 유비 오 대제 손권 조조는 후한의 마지막 승상이자 사실상 조위의 초대 황제였고 위진시대의 토대를 닦은 인물이다. 후한이 그 힘을 잃어가던 시기에 비상하고 탁월한 재능으로 두각을 드러내, 여러 제후들을 연달아 격파하고 중국대륙의 대부분을 통일하여, 위나라가 세워질 수 있는 기틀을 닦았다. 유비는 삼국시대 촉한의 제1대 황제이다. 관우 ·장비와 결의형제하였으며, 삼고초려로 제갈량을 맞아들였다. 맨주먹과 인의만으로 일어나 최고의 자리까지 오른 난세의 영웅. 손권은 중국 삼국시대 오나라의 초대 황제이다. 조조와 유비의 침공을 방어하여 삼국정립에 기여하였으며, 수성의 명수로 널리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말년의 거듭된 실책으로 오나라 패망의 단초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양 무제 소연 양 고조 무황제 소연은 중국 남북조 시대 양나라의 초대 황제이다. 재위 전반에는 아주 훌륭한 정치를 펼쳤지만 후반기에 들어 정치 난맥상을 보였는데 불교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불교에의 지나친 의존은 국가 재정의 궁핍을 가져왔고 민심 이반을 초래했다. 훗날 갈족 출신의 후경의 난이 발생해 건강성이 함락된 뒤 유폐되어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동북아시아 불교의 승려들이 고기를 못 먹게 한 주역이자 콩고기 탄생에 큰 영향을 주었다. 수 양제 양광 수양제는 수나라의 2대 황제이다. 본명은 양광으로 수나라를 건국하고 중국을 통일한 성군 수문제의 차남이다. 시호는 수 양제로 널리 알려졌지만 이는 당나라 때 붙여진 것이고 공식적인 시호는 세조 명황제이다. 하지만 전자가 더 유명할 정도로 그의 치세가 막장이었는데, 시법에서 煬(양)은 '여자를 좋아하고 예를 멀리함', '예를 내치고 중신을 멀리함', '여자를 좋아하고 정사를 위태롭게 함', '예를 내치고 올바름을 멀리함', '하늘을 거스르고 백성을 해침'이란 뜻을 가진 악시(惡諡)다. 여기서 하늘을 거슬렀다는 것은 황제가 되기 위해 아버지와 형제를 해치는 패륜을 저질렀기 때문이라고 해석한다. 그의 시호처럼 아버지 수 문제가 어렵게 통일시킨 수나라를 멸망시키는데 일조하였다. 당 태종 이세민 당 태종 이세민은 중국 당나라의 제2대 황제이다. 휘는 이세민(李世民)의 뜻은 제세안민(濟世安民), 즉 세상을 구하고 백성을 편안케 하라는 뜻이 있다고 하다. 당나라 최고의 명군이자 실질적인 건국자, 수천 년의 긴 중국 역사상 최고의 명군 중 한 명이다. 주 성신제 무조 (측천무후) 측천무후는 당나라 고종 이치의 황후이자 무주의 황제로, 중국의 여자 황제이다. 중국에서는 그녀를 무측천이라 부르기도 한다. 공포정치를 했다는 비난과 민생을 보살펴서 나라를 훌륭히 다스린 여걸이라는 칭송을 같이 받고 있다. 당 현종 이융기 / 양귀비 당 현종은 당나라의 제6대 황제이다. 안으로는 민생안정을 꾀하고 경제를 충실히 하였으며, 신병제를 정비하였다. 밖으로는 국경지대 방비를 튼튼히 하여, 수십 년의 태평천하를 구가하였다. 그러나 노후에 도교에 빠졌으며 양귀비로 인해 정사를 포기하다시피 하였다. 양귀비는 당 현종의 후궁이자 며느리이다. 절세미인에 총명하여 현종의 마음을 사로잡아 황후 이상의 권세를 누렸다. 안사의 난이 일어나 도주하던 중 살해되었다. 송 태조 조광윤 송 태조는 중국 5대 10국 시대의 장군이자 후주의 장군이며 중국의 송 황조의 창시자이자 북송의 초대 황제이다. 5대 후주의 세종을 도와 거란 및 10국 정벌에 출정하였다가 세종 병사 후 공제에게 선양받아 즉위하였다. 그러나 선황실의 후예들을 박해하지 않아 뒤에 주자로부터 그 덕망을 칭송받았다. 금 태조 완안 아골타 금 태조 완안 아골타는 금나라의 초대 황제이다. 여진 완옌부의 족장으로서 중국의 정복왕조인 금을 건국하였다. 남송 위왕 조병 남송 위왕 조병은 남송의 마지막 황제이다. 임안이 함락되었을 때 형 단종과 함께 육수부 등에 옹립되어 남으로 피난하였으며, 단종이 병사하자 후임으로 광저우에서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다음 해 원의 공격으로 절망적인 상황에서 육수부에게 배신당해 불과 8세인 나이에 자살하며 남송은 멸망하였다. 원 세조 쿠빌라이 원 세조 쿠빌라이 칸은 몽골 제국의 제5대 대칸이자 원의 초대 황제이며, 칭기즈 칸의 손자이다. 명 태조 홍무제 주원장 홍무제는 중국 명(明)나라의 초대 황제이다. 홍건적에서 두각을 나타내어 각지 군웅들을 굴복시키고 명나라를 세웠다. 동시에 북벌군을 일으켜 원나라를 몽골로 몰아내고 중국의 통일을 완성, 한족(漢族) 왕조를 회복시킴과 아울러 중앙집권적 독재체제의 확립을 꾀하였다. 중국 역사 속 대표적인 토사구팽과 의심의 아이콘이자 세계사 자수성가계 인물들 중 끝판왕. 거지+고아에서 황제가 된 유일한 사람이다. 명 성조 영락제 영락제는 명나라 제3대 황제이다. 태조 주원장의 4남. 중국 역사상 손꼽히는 명군이지만 동시에 지나치게 잔혹한 숙청 때문에 비판받는 인물이다. 게다가 환관들을 이용한 측근 정치를 과도하게 하였다는 비판이 있다. 중국 한족 왕조 역사상 한무제, 당태종의 뒤를 잇는 정복 군주. 명 숭정제 주유검 숭정제는 중국 명의 마지막 황제이다. 즉위 초기에는 전횡을 부리던 환관의 세력을 제거하고 정치를 개혁하였으나, 중기 이후에는 다시 환관들을 중용하여 당쟁이 격화되었다. 그 결과 후금의 침입과 농민반란 등을 촉발시켜 이자성이 이끄는 농민반란군이 베이징을 점령하자 자결하였다. 숭정제는 자결하기 전에 후일을 도모하기 위해 태자 주자랑을 포함한 세 아들들을 여장을 하고 외갓집 전씨에게 가서 숨어 있도록 탈출시켰다. (딸들은 숭정제가 직접 죽였다 함) 그의 태자 주자랑은 동생들과 함께 이자성에게 붙잡혀 있다가 전란 중에 모두 살해되었다. 그는 나중에 남명 정권에서 홍광제에 의해 순종 도황제로 추존되었고 그의 부인 태자비 영씨는 살아남아 청나라 예친왕 도르곤에게 바쳐졌으나, 수절했으며 머지않아 병사했다. 청 태조 아이신기오로 누르하치 누르하치는 후금의 건국자이자 초대 황제이며, 곧 중국 최후의 왕조인 청나라의 초대 황제이다. 여진의 대부분을 통일하여 한(汗)의 지위에 올라 국호를 후금이라 하였는데 이는 명나라에 큰 위협이었다. 명과의 싸움 중 병사하였지만 그가 확립해 놓은 기초 위에 아들 홍타시가 대업을 완수하였다. 예친왕 아이신기오로 도르곤 예친왕 도르곤은 태조 누르하치의 14번째 아들이다. 청 태조가 사망할 당시 제위를 계승할 가능성이 있었으나, 나이 많은 이복형 청 태종이 도르곤의 어머니 오라나랍 아바하이를 순장시키고 제위를 계승하였다. 형이자( 청 강희제 청 성조 강희제는 청나라 제4대 황제이자 몽골 제국 제43대 대칸이다. 중국 역사상 가장 긴 61년이란 긴 세월 동안 청나라를 통치했다. 즉위 당시 겨우 8세의 어린 나이였으며, 사망 당시 69세였다. 엄청난 공부와 수양을 통해 지식과 교양을 쌓았으며 한편으로는 직접 전쟁을 지휘하고 원정을 강행한 것에서 보이듯이 만주족 전통의 무술과 기마술을 단련하는 데에도 힘썼다. 이민족인 만주족의 황제였지만, 워낙 자질이 뛰어나 현대 중국인에게도 천고일제(천 년에 한번 나오는 황제)라고 불릴 정도로 위대한 황제로 손꼽히고 있다.청나라의 전성기의 시작을 연 황제 청 건륭제 건륭제는 청나라의 제6대 황제이다. 중국 청조 제6대의 황제인 고종으로 옹정제(세종)의 제4자이다. 옹정제가 57세로 사망하자 25세로 재위를 이었으며, 60년이나 재위하여 중국 역사상 강희제 다음으로 오랫동안 재위하였으며, 이 시기에 청제국의 국력은 사상 최강, 국토 역시 사상 최대에 달하였다. 최후의 중화적 절대 군주. 강희제와 옹정제가 일군 청나라의 최대 황금기를 누린 황제. 그러나 치세 말년은 사치와 부패로 얼룩졌고 건륭제 이후 19세기에 접어든 청나라는 서양세력의 침입과 국내의 환란 속에서 쇠망의 길을 걷게 된다. 청 선통제 푸이 중국 청(淸)의 마지막 황제 중국사 최후의 군주 ㅊㅊ http://bbs.ruliweb.com/best/board/300148/read/32298253 http://www.yeeed.com/2014/08/28964.html 작가 스메라기 나츠키 |
'알아둘만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에서 날조해버린 논개 (0) | 2018.07.26 |
---|---|
NEW!! 강하나가 매일하는 `인생 스트레칭` 동작 모음 (하체-상체-복부) (0) | 2018.07.18 |
일본맥주 방사능 구분 - 아사히 / 삿포로(삿뽀로) / 기린 (0) | 2018.07.12 |
체크카드 & 신용카드 월간랭킹 TOP 10 (0) | 2018.07.11 |
지금은 사라진 고어 (0) | 2018.06.28 |